.
.
.
__일반정의_
.
0027 : "Lesson"
Lesson
체계적인 학문적 지식이나 기능의 계통을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강사가 그 계통을 쫓아서 학습자에게 전달 교수하기 위하여 조직된 단원이다. 이것은 전 통적인 체계적인 지식, 기능의 존재를 중시하고 그러한 관점에서 단원을 조직한 것이다.
자료 단원이라 함은 강사가 학습단원을 계획하고 전개시키며, 평가함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여러 자료의 체계적, 통합적인 조사 분석 및 조직을 말하는 것이다 . 좀더 쉽게 말하면 학습자들로 하여금 단원학습을 이끌어 나가도록 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기준 이나 자료를 제시할 수 있는 하나의 참고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
1. 자료 단원은 강사가 학습단원을 계획하고 전개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도움을 준다.
2. 좋은 자료 단원은 여러 학습활동, 암시적인 평가 방법, 신중하있게 선정된 참고 도서 및 학습 보조 자료, 그리고 잘 계획된 문제 영역의 서술 등을 포함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교육 내용을 계획하고 지도 하는데 필요한 암시적인 여러 방법과 기술까지도 강조하고 있다.
3. 자료 단원은 수시로 적절한 시기에 수정되어야 한다.
4. 자료 단원의 작성에 참여한다는 것은 그 자료 단원의 효율적 활용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
5. 자료 단원의 사용에 있어서 이 자료 단원을 보고 보강해 주는 다른 자료를 찾아야 한다.
자료 단원의 형태는 작성하는 사람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짜여지는 것이 보통이다.
1) 서론 단원 혹은 문제의 성격과 그 자료 단원의 이용에 있어서 알고 있어야 할 몇 가지 암시 혹은 조언의 대강이 나온다.
2) 철학과 목표 자료 단원 작성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개는 그 자료 단원이 사용될 학교의 일반 철학과 목적이 소개되고, 나아가서 그 특정한 단원 혹은 문제 영역에서 성취코자 하는 교육목표가 진술된다.
3) 영역 여기서는 주로 단원 혹은 문제 영역이 내포하는 문제, 가설 등의 범위를 정하고 아울러 그 문제 영역에 대한 강사의 더욱 깊은 연구를 위하여 참고문헌이 소개되기도 한다.
4) 강사와 학습자의 협동 계획에 의한 학습 단원을 전개함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학습 내용을 보장하여 줄 만한 여러 가지 학습활동의 장면과 내용을 체계적으로 혹은 아무 조직이 없이 나열하여 놓는 것이다.
5) 참고자료의 도구 학습단원을 전개함에 있어서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책. 정기 간행물. 영화. 레코드. 모델, 그림. 지도 등의 시청각 교보재의 목록을 적는 것이다.
6) 평가 여기에서는 그 자료 원이 만들어진 넓은 단원 혹은 문제 영역 안에 있어서 학습자들이 가지게 될 단원학습을 통하여 있을 평가를 위한 여러 가지 암시가 들어 있다.
7) 타 단원으로의 인도 이것은 대개 간단히 적은 것으로 이 자료 단원과 관련성 있는 다른 문제 영역 혹은 단원을 위한 자료 단원 작성의 가능성 등을 암시하여 둔다.
8) 단원의 이용 이 자료 단원이 어떤 학습단원 전개에 어떻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인가를 밝혀 놓는다. 자료 단원의 구성은 곧 전체 교육과정 구성의 절차와 원리에 일치하여야 하며 대체로 그와 비슷한 순서를 밟기도 한다. 왜냐하면 단원은 바로 하나의 교육 과정으로서 교육목표가 있고 그에 따라 어떠한 학습활동을 전개시켜 나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
.
.
.
.
.
.
__연관단어_
.
.
.
.
.
.
신규 |
'『HRD용어사전v2012』 > A~Z'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29 : "Method:선택법" (0) | 2012.11.06 |
---|---|
0028 : "MTP - Management Training Program" (0) | 2012.11.06 |
0026 : "KSA - Knowledge, Skill, Attitude" (0) | 2012.11.06 |
0024 : "JST - Jinjiin Supervisor Training" (0) | 2012.11.06 |
0016 : "ECRS의원칙" (0) | 2012.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