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__일반정의_
.
0039 : "OJT"
OJT (On the Job Training)
일반적으로 직장내 교육이라고 번역되어 ‘일의 수행과정을 거치면서 일의 효과적인 완성에 필요한 지식ㆍ기술ㆍ태도에 대해서 계획적으로 상사가 부하에게 행하는 교육훈련’을 의미한다.
교육 Needs의 절실감은 일의 수행과정내에서라야 가장 강하기 때문에 OJT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제조건에 대응한 적절한 판단력을 구사해서 효육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일의 사이클 Plan-Do-See에 따라서 원조 할 책임이 있다.
그런 의미에서도 OJT는 교육훈련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방법인 것이다. 새로운 개인주의의 대두에 따른 조직력의 약화 및 경영의 다각화, 신제품 개발을 위한 기업변신, 집합교육의 한계로 인해 OJT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사원 각자의 교육필요점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사람은 그의 직속상사이다. 부하는 일반적으로 상사의 업무처리 방법이나 행동을 본받기 마련이며, 상사는 부서내 분위기 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더불어 인재가 육성되기 위해서는 본인의 의욕과 상사나 선배의 원조가 합쳐져서 비로소 이루어진다.
OJT(On the Job Training)
교육형태에 따른 용어로 "직장내교육"으로 번역되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면 "부하지도․육성"이다.
업무수행과정에서 상사와 선배가 부하와 후배에 대하여 업무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직장에서 중점적으로 지도․육성하는 계획적인 관리행동을 가리킨다.
업무수행에 필요한 것을 원칙적으로 man-to-man으로 상사와 선배가 교육하는 것을 말한다.
OJT는 업적향상을 위해서도, 부하의 인격형성을 위해서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또, 技能전승이라는 중요한 機能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OJT는 실무에 밀착한 것, 업적에 직결되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즉흥적이 아닌, 계획적․중점적․단계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75. OJT(On the Job Training)
교육형태에 따른 용어로 "직장내교육"으로 번역되지만 일반적으로 업무수행과정에서 상사나 선배가 부하나 후배에 대하여 업무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직장에서 중점적으로 지도/육성하는 계획적인 관리행동을 가리키며, 직장에서 다른 구성원과의 상호교류나 관찰을 통해, 또는 담당직무의 수행과정에서의 직접적 경험을 통해 '스스로 깨닫는' 것으로서 새로운 견해와 기능을 습득하여 주체적으로 행동을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직장내 교육이라고 번역되어 일의 수행 과정을 거치면서 일의 효과적인 완성에 필요한 지식, 기술(기능), 태도에 대해서 계획적으로 상사가 부하에게 행하는 교육 훈련을 의미한다.
교육 니즈에 절실감은 일의 수행 과정 내에서 가장 강하기 때문에 OJT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제 조건에 대응한 적절한 판단력을 구사해서 효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일의 사이클인 P-D- S(Plan- Do- See)에 따라서 실시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신입사원 시절 부서를 순회하면서 받은 교육을 OJT라 부르는 사람도 많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OJT, On-the-Job Training
교육형태에 따른 용어로 '직장내교육'으로 번역되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면 '부하지도․육성'이다. 업무수행과정에서 상사와 선배가 부하와 후배에 대하여 업무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직장에서 중점적으로 지도․육성하는 계획적인 관리행동을 가리킨다. 업무수행에 필요한 것을 원칙적으로 man-to-man으로 상사와 선배가 교육하는 것을 말한다. OJT는 업적 향상을 위해서도, 부하의 인격형성을 위해서도 소홀히해서는 안된다. 또, 기능(技能)전수라는 중요한 기능(機能)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OJT는 실무에 밀착한 것, 업적에 직결되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즉흥적이 아닌, 계획적․중점적․단계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내교육(On-the-Job Training : OJT)
직장 내의 상사가 구체적·실제적인 입장에 서서 직접 가르치는 교육. 직장내 훈련이라고 불리우는 경우도 있지만 반드시 적절한 번역이 아니고 그대로 `OJT'라고 하는 용어로 사용되어 대중화 되어 있다. 종래 교육훈련은 전문가가 담당하는 직장외 훈련이 대부분이었다. 사내교육(OJT) 목적은 노동자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기능의 향상 뿐만 아니라 기업에 대한 충성심이나 근로의욕을 높이고 새로운 능력개발 또는 관리, 감독자의 지도력 육성을 목적으로 한다..
.
.
.
.
.
.
__연관단어_
.
.
.
.
.
.
신규 |
'『HRD용어사전v2012』 > A~Z'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41 : "Pedagogy" (0) | 2012.11.08 |
---|---|
0040 : "OIC - Opportunities Industriation Center" (0) | 2012.11.08 |
0038 : "OJL - On the Job Leaning" (0) | 2012.11.07 |
0037 : "OJMD - On the Jop Development Management" (0) | 2012.11.07 |
0036 : "Off JT - Off the Job Training" (0) | 2012.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