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__일반정의_
.
0015: "DACUM"
데이컴(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2
DACUM은 새로운 직무 분석 기법으로서 본래 캐나다에서 고안되었으며, 미국의직업 교육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게되었고, DACUM 과정은OHIO 주립대학(OSU)의고용을 위한 교육훈련센터의 "Robert Norton"박사에 의하여 더욱 발전되었다. DACUM 표는 교과과정의 개발, 근로자의 훈련 프로그램, 시험개발, 요구 판단을 위하여 사용 되어지며, DACUM 과정은 현직근로자와 관리자로 구성된 작은 그룹 인터뷰 과정이 있고, 그룹인터뷰를 통하여 직무의 업무처리과정을 도출하고 임무와 처리 과정의 순서를 정리한다
----------
데이컴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직무분석(Job analysis)기법의 하나.
1970년 캐나다에서 개발되어 Ohio주립대학에서 발전되었다.
해당 직무에서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업무수행자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잘 훈련된 퍼실리테이터에 의해 업무수행에 필요한 과제(Task)를 추출해내는 체계적인 절차를 말한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추후 검증작업(그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등) 을 통해 최종적으로 커리큘럼으로 완성된다.
----------
데이컴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은 새로운 직무 분석 기법으로서 본래 캐나다에서 고안되었으며, 미국의 직업 교육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게 되었고, DACUM 과정은 OHIO 주립대학(OSU)의 고용을 위한 교육 훈련 센터의 Robert Norton박사에 의하여 더욱 발전되었다. DACUM 표는 교과과정의 개발, 근로자의 훈련 프로그램, 시험 개발, 요구 판단을 위하여 사용되어지며, DACUM 과정은 현직 근로자와 관리자로 구성된 작은 그룹 인터뷰 과정이 있고,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직무의 업무 처리 과정을 도출하고 임무와 처리 과정의 순서를 정리한다.
DACUM 모임에는 일반적으로 정보를 알아내기 위하여 3-4시간에서부터 몇 일까지 훈련을 받은 8-15명의 근로자와 관리자로 구성된다. 1번째로 광범위한 임무가 도출되고 이러한 임무는 일반적으로 종이나 카드 목록화되어 벽에 붙여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임무는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추출하기 위하여 분석되어지며, 그 후 주요 임무들로 통합되고 빈도와 중요도의 척도로 평정되어진다. 특정한 직무에 관한 활동과 임무의 목록이 현직 근로자와 관리자에 의하여 개발되어지고 매우 특정한 임무에 대한 훈련 자료의 개발을 위해 사용되어질 수 있다.
DACUM의 기본 가정
Robert Norton 박사에 의하면 DACUM은 3가지 기본 가정 하에서 이루어진다.
① 숙련 근로자가 그 어떤 누구보다 자신의 직무를 가장 정확하게 묘사하고 정의할 수 있다.
② 직무를 묘사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숙련 근로자가 수행하는 임무를 정의하는 것이다.
③ 모든 임무가 제대로 수행되어지기 위해서는 특정한 지식, 기술, 도구와 자세를 요구.
DACUM의 과정
개발 과정과 관련하여 DACUM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따른다.
① 모임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② 직무에 대한 개요를 살핀다.
㉮ 두뇌 활동을 원활하게 한다.
㉯ 조직도를 살핀다.
③ 일반적인 책임(의무) 영역을 도출한다.
④ 수행되어지는 특정 임무를 도출한다.
⑤ 임무와 의무에 관한 내용을 다시 검토하고 상세하게 논술한다.
⑥ 임무와 의무에 대한 내용을 정렬한다.
⑦ 필요한 사항에 대한 목록을 작성한다.
㉮ 직무의 일반적인 지식과 기술에 대한 요구사항
㉯ 선호되는 근로자의 행위 태도나 기질
㉰ 장비, 도구, 원료, 재료
⑧ 다른 기타 선호되는 사항
임무는 반드시 매우 특정한 수행 용어로 정의되어져야 하며, 특정한 수행 용어를 찾아내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어, 납땜부를 합치는 경우에 필요한 임무에 관한 것에 대하여 “납땜 이해가기”라고 하면 적절한 문장이 아니라고 여겨진다. 즉, 특정한 임무를 정의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좋은 문장이라고 하면 “저항 납땜기를 이용 PC 보드를 땜질한다”가 될 것이고, 이 문장도 단 하나의 임무를 나타낼 때까지 나누어질 수 있을 것이다. 훈련된 능숙한 진행자는 임무가 어떤 수준에서 정의되어야만 하는지 설정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협상 과정을 거쳐 명확하고 충분하며 상세한 수행 목적들이 수립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임무의 한계를 설정하는 경우에 명확해야 하며, 특정 임무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하는 행위 동사들도 명확해야 한다. 임무는 광범위한 “자격 영역에서의 특정 직무”를 정의하게 된다.
DACUM의 효과
Robert Norton 박사에 따르면 학교를 위한 DACUM 법의 2차 산물로 산업과 사업계와의 관계가 발생하며, DACUM은 종종 장기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산업과 사업계가 학교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는 다음과 같다.
① 장비와 재료의 제공
② 새롭게 발생하는 산업 영역에 대한 교육 관계자 제공
③ 지역의 필요성에 맞추기 위한 사업장 훈련에 대한 요구
④ 성인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율 증가
⑤ 지역 경제, 산업, 노동 및 경영 관련 기관에 의한 교육기관 지원 증가
-----------
직무분석과 DACUM에 대해서
직업교육에서 데이컴(DACUM)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방식이다.
DACUM-Developing a curriculum은 직무분석기법을 교육과정 개발에 활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간단히 직무분석기법의 하나로 설명하는 자료가 많은데, 내 생각에는 잘못 전달된 측면이 많다.
데이컴은 어디까지나 교육과정 개발 방식이지 직무분석 방식은 아니다.
데이컴에서 하는 직무분석은 일종의 패널을 활용한 워크숍을 의미한다.
내용전문가와 교육과정 전문가가 같이 모여 데이컴 시트를 활용해서 2박3일 동안 합숙해서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데이컴을 통해 개발해야 하는 내용은 직무분석 수준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직업 명세서,
직무 명세서, 작업 명세서를 기본으로 하고 각 작업에 필요한 지식, 기술, 도구를 추출한 후 이를 프로파일링하여
최종적으로 교육과정 개발에 들어간다.
물론 국내에 소개된 여러 자료들은 데이컴을 직무분석 기법으로 주로 소개한다.
하지만 만약 직무분석만이 필요하다면 굳이 데이컴을 활용할 이유가 없다. 직무분석을 위해 가장 간단한 방법은
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직무의 내용, 작업 명세서 정도를 만들면 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직무분석에는
관찰법, 설문지법 같은 조사기법도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데이컴을 사용해서 직무분석을 할 때에는
직무와 작업을 확인 하는 수준에서 멈출 이유가 없는 것이다.
학술 정보를 통해서 직무분석이 국내에 소개된 과정을 검토해보면 이것이 경영자 입장에서 처음 도입되었다는
점을 알게 된다. 다시 말하면 직무분석은 기업이라는 조직 내에서 인사관리라고 하는 커다란 영역의 전문활동
가운데 하나이지, 최초에는 교육학과 무관한 것이었다. 그런데 현재 우리는 직무분석-데이컴을 거의 동일하게
취급하고 있고, 직무분석이 마치 모든 직업연구의 기본인 것처럼 착각하고 있다. 절대로 착각하지 말아야 할 것은
직무분석이 가능한 직무-직업이 따로 있다는 점이다.
원래 직무분석은 조직 내에서 책임과 역할을 명확하게 하고 각 직무별로 정원을 할당하는 데 필요해서 시작한 것이다. 굳이 교육훈련과 연결한 것은 그것이 교육훈련에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지, 교육적 수준에서
꼭 필요했던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아주 전문적인 직업이나 자율성이 많은 직업에 직무분석을 시도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본다.
예컨대 교사, 의사, 변호사와 같은 전문직업은 직무 수준에서 분석해서 교육과정을 개발하려 한다면 이는 매우
잘못된 접근이 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국내에는 이런 직업에 대해서도 직무분석을 실시한 사례가 없지 않다.
의료 분야의 국가시험원 같은 경우에는 의사의 직무분석을 시도해서 의사 직무기술서를 만들기도 했다.
여러 분야의 의사들이 모여서 만든 이 직무기술서를 보면 환자를 맞이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각 신체 부위의 진료,
검사, 치료 등이 나온다. 거의 400쪽 분량의 이 직무 기술서는 잘 읽어보면 의사를 양성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를 거의 얻을 수가 없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출처] 장수용- 직무분석과 DACUM에 대해서 !|작성자 김지연원장
.
.
.
__관련링크_
.
. 감성이빨님의 블로그 | 직무분석 활용실태 및 분석기법 (DACUM) - 직무분석에 Dacum을 활용한 사례를 포스팅 해놓으셨습니다. http://blog.naver.com/justysound/110128030202 . |
.
. 비즈스킬아카테미(웅진) | CBC와 DACUM의 차이 - CBC와 DACUM의 차이를 표를 통해 깔끔하게 정리해놓았습니다. http://www.bizskillacademy.com/87 . |
.
.
DACUM관련 영상 #1 : 국내영상 찾으면 올리겠습니다.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from ATEEC on Vimeo.
.
.
DACUM관련 영상 #2 : 국내영상 찾으면 올리겠습니다.
.
.
.
__실무자료_
.
. #1. 직무능력개발DACUM기법을 통한 미용사(헤어드레서)의 직무수행능력평가 - Dacum을 활용한 직무평가 사례 자료입니다. . .
|
.
. #2. DACUM의 경우로 본 교사의 역할평가 - DACUM을 활용하여 교사역할 평가 사례를 수록하였습니다. . . . |
.
.
.
.
__연관단어_
.
.
신규 |
'『HRD용어사전v2012』 > A~Z'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24 : "JST - Jinjiin Supervisor Training" (0) | 2012.11.06 |
---|---|
0016 : "ECRS의원칙" (0) | 2012.11.06 |
0014 : "CPM - Critical Path Method" (0) | 2012.11.06 |
0023 : "JIT - Just In Time" (0) | 2012.11.05 |
0022 : "ISD과정 시간단축기법" (0) | 2012.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