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RD용어사전v2012』/자

0873 : "직무기술서"


 HRD용어사전v2012
0873 : "직무기술서"

 

직무 기술서(Job description)
 직무분석에 의해 직무별로 직무 내용을 총괄해 놓은 것.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건이 포함된다. ① 직무내용에 대한 개요, ② 직무에 포함되는 과업의 종류와 양, ③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격요건, ④ 직무와 타 직무와의 관련성 등. 직무 기술서는 직무평가를 수행하는데 있어 필수 불가결한 것이며 직무 기술서가 애매하거나 불완전해서는 적정한 직무평가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직무평가를 기준으로 하는 직능급을 구체화할 경우에는 직무 기술서가 중요한 요건이 된다. 그러나 직무 기술서는 단순히 직능급의 구체화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적정 배치를 구체화하기 위한 자격요건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또한 계획성있는 직무교육 체계를 정비하기 위해 인사관리상 다양한 용도를 갖고 있다.

 

 

----------

직무기술서, Job description 
직무기술서는 직무분석을 통해 수집된 정보의 요약된 문서로서 직무와 의무, 책임, 작업환경 등을 규정한 것이다. 구체적인 구성내용은 직무 정보, 직무개요, 직무의무와 책임으로 구분하여 기술될 수 있다.
직무정보는 직무의 명칭, 위치, 그리고 직무분석 정보의 원천을 규정한 것으로 직무기술서의 서두에 해당된다. 누가 작성하였는지, 직무분석이 시행된 날짜 등이 기입된 것이다. 직무개요는 해당 직무의 수행의무, 책임, 그리고 조직에서의 물리적 위치 등을 간략하게 요약한 것이다. 직무의무와 책임은 해당 직무를 통해 어떤 일을 수행하고 책임을 져야 하는지에 대한 것으로 직무수행과정의 중요한 의무가 무엇인가를 규정하고 있다..

.


.

.
__실무자료_
.

 
 #1.직무분석의 의의와 목적 및 오류,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

 


직무분석의 의의와 목적 및 오류,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hwp

 



목차
직무분석의 의의와 목적 및 오류,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



목차

* 직무분석

Ⅰ. 직무분석의 의의와 목적

1. 직무분석의 의의
2. 직무분석의 용어
3. 직무분석의 목적

Ⅱ.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

1. 직무 기술서
1) 직무기술서의 의의
2) 직무기술서의 기재사항
2. 직무명세서
1) 직무명세서의 의의
2) 직무명세서의 기재사항

Ⅲ. 직무분석의 오류와 유의사항

1. 직무분석의 오류
2. 직무분석상의 유의사항
1) 직무내용의 명료화
2) 직무 및 기준직무의 모색
3) 직무정보의 실용성
4) 실무진의 협조
5) 통태적 직무분석
6) 직무분석 전문가의 활용
7) 직무분석 결과의 검토


본문
직무분석

I. 직무분석의 의의와 목적

1. 직무분석의 의의

직무분석은 분석적 방법에 의해 직무내용을 한정짓는 요인을 서술하여 이를 제시,
기록하는 절차이다. 그러므로 직무분석은 노동대상인 다종, 다양한 직무의 성질에 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 보고하는 절차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인사관리의 기초로서 노동주체로서의 “인간” 에 대한 구조적 이해, 인간의
활동 영역과 장소를 제공해 주는 “직무” 에 관한 조직적 등 2가지의 기본적 태도확
립이 필요하다.
인간과 직무에 대한 체계적, 과학적 이해가 있어야 효율적 인사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경영성과는 다음 등식과 같이 인간과 직무의 유기적 조화에서 이루어진다.

성과(P) = f(인간 x 직무)

2. 직무분석의 용어

직무분석 대상인 직무단위(job unit)를 찾아내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직무분석
을 할 때는 먼저 현 직위에서 수행되는 과업의 형성과정을 토대로 동일, 유사한 직위를 묶는 "직무단위의 결정" 이라는 절차가 필요하다.
직무분석에 관련된 용어의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직무요소(element) : 직무와 관련된 동작, 움직임 등 작업을 구성하는 최소의


.이하 생략(미리보기 참조)



이 자료는 http://www.jisik-book.com에서 제공하는 유료자료입니다.

 

 
 #2.인사관리 직무분석을 통한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 직무 프로파일 작성 (인사관리)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hwp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직무기술서
Ⅲ. 직무명세서
Ⅳ. 직무 프로파일(Job Profile)
Ⅴ. 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의 작성 세부 검토


본문
Ⅳ. 직무 프로파일(Job Profile)

직무 프로파일은 기존 직무기술서와는 요약, 정리 형태 측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지만 그 기본적인 목적을 공유한다는 측면에서는 직무기술서의 변형된 형태라고 할 수 있겠다.
직무기술서와 직무 프로파일의 차이점을 알아 보면 다음과 같다.

1) 직무기술서는 각각의 직무에 대해 정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직무 프로파일은 동일한 직군에 속해 있는 한 팀 구성원의 직무를 기술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 직무 프로파일은 크게 표지와 직무요건서의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표지는 팀 전체의 책임과 목표, 필수성공요소(Critical Success Factors)와 주요결과부문(Key Results Area)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두고 있다.
직무요건서는 팀 내의 모든 직무를 난이도에 따라 수직축에 상하로 기록하고, 수평축에는 직

본문내용
무분석을 통하여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를 작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알아보겠다.
Ⅱ. 직무기술서
1. 의의
직무기술서란 직무분석의 결과에 의거하여 직무수행과 관련된 과업 및 직무행동을 일정한 양식에 기술한 문서를 말하며, 과업요건에 초점을 둔 것이다.
즉 직무분석이 끝난 후, 그 내용을 토대로 개선, 요약 정리한 것이 직무기술서이다. 직무기술서는 직무를 글로 표현한 사진이라고 할 수 있다.
2. 내용
직무기술서에 포함되는 요소는 다음과 같이 예시할 수 있다. ①직무명칭, ②직무활동과 절차, 수행되는 과업, ③작업조건, 사회적 환경, ④고용조건, 작업시간, 임금구조 등을 포함한다.
3. 작성시 유의사항
직무기술서는 ①표현이 명료하고, ②범위를 명시해야 하며, ③구체적이어야 한다. 또한 ④감독책임을



이 자료는 http://www.jisik-book.com에서 제공하는 유료자료입니다.

 


.
__연관단어_
.
.
.
.


 

A~Z

신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