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D 썸네일형 리스트형 HRD100 주간레포트 week40 : 2012.10.01~10.07 추석연휴 ...HRD100, 2012년 "40"번째 주간보고서.즐거운 추석을 보내셨습니까? 어느 유명 프로블로거가 말한것 처럼 연휴가 길어지니까 정신이 해이해 지는거 같습니다.약속한 일정도 소화를 못하게 되네요. 요새 몇몇 방문자 분들의 질문이 조직개발, 변화분야에 대한 이야기여서 그럴까요 "사람과 변화"에 대해개인적으로 많은 고민을 하게되었던 한 주였던것 같습니다. 또한 생각지도 않게 좋은 소식이 생겨서 나태해질대로 나태해진 제 정신을 잡아준 고마운 상황도 있었습니다. 방문자 통계를 보시면 하루 방문자가 400명을 넘는 일이 생기고 말았습니다. 음..다른 분야는 모르겠지만, 제가조사하고 준비한 바로는 HRD분야에 관련한 블로그의 방문자가 400~300명 정도 된다는건 저도 예상하지 못했던부분이라 감회가 새.. 더보기 HRD실무자의 롤모델 - "세베루스 토비아스 스네이프"를 소개합니다. 몇일전에 (너무 늦게) 해리포터와 죽음의성물 2부까지 보게 되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것은 세베루스,스네이프 라는 사람의 업적이리라고는 영화를 보기 시작할 때는 생각조차 못한 일이었다. 죽음의성물 part 2의 클라이막스에서 해리포터는 "세베루스,스네이프" 관점에서 해리포터가 태어나기 전부터의 새로운 이야기를 보게 된다. 그 이야기를 보고 나서 과연 누가 주인공일까? 라는 생각을 해봤다. 세베루스는 해리포터 시리즈의 처음부터 끝까지 비중있는? 조연으로 나오지만, 항상 해리포터의 주변에서 겉도는 인물이었지만, 영화는 (소설은 안봤어요) 해리포터의 일생중 중요한 몇몇시점에 세베루스가 개입되어 있는것을 보여주었고, 해리포터가 시리즈의 마지막을 장식할때까지도 해리포터의 인생의 기획자로 뒤에 남아 있었다. 어거지 .. 더보기 [HRD뉴스] 2012.10.01 뉴스링크 . . _.HRD 일반뉴스.2012.10.01. 21시 작성_ . 일반적인 포털서비스에서 나오는 키워드 뉴스를 모아놓았습니다. . HRD, 인적자원개발, 직업능력개발 . 제243차 HRD포럼 개최…2013 경영환경 예측을 통한 HRD전략과 교육체계 수립 2012.09.29| KP통신 HRD아카데미(한국HRD협회 교대연수원)에서 인적자원개발기관 한국HRD협회는 ‘2013 경영환경 예측을 통한 HRD전략과 교육체계수립’이란 제목으로 제243차 HRD포럼을 2012년 9월 26일(수) 열었... . ‘세계적 청년실업 해법 찾자’ 국제 세미나 2012.09.30| 파이낸셜뉴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다음달 9일 서울 강남구 임피리얼 팰리스 호텔에서 '청년층 취업 경쟁력을 높이는 직업능력 개발 전략'을 주제로 국제.. 더보기 HRD100 주간레포트 week39 : 2012.09.24~09.30 .....HRD100, 2012년 "39"번째 주간보고서.즐거운 추석을 보내셨습니까?39번째 주를 정리하다 보니까, 제가 생각한 본질적인 부분을 다루는게 아니고, 계속해서 껍데기 부분에서 맴돈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HRD가 건드려야 할 분야가 시작할때 보다 많아졌다고 생각할수도 있고, 원하는 정보가 어디 한군데 정리가 되어 있지도 않더군요. 심지어는 HRD분야에서 일하는 분들의 블로그는 찾아내기도 힘들다는걸 더없이 느꼈습니다. 솔직히 한달반도 안되었는데 한숨이 나왔습니다..39번째주의 운영이슈는 "HRD100플랫폼자료 정비" 였습니다. 정리를 하기위해 하드웨어부터 데이터를 한곳에 모으는 작업까지 보이지 않게 시간을 잡아먹는 작업을 많이 하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불편한진실의 주제도 머리에 안.. 더보기 피드백의 중요성 일찍이 평가 결과를 활용할 의도가 없다면 평가는 실시돼서 안 된다. 평가 결과를 활용할 의도가 없거나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조직 구성원들이 평가에 참여해야 할 이유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 오히려 평가결과가 활용되지 않는다면 평가에 참여한 사람들은 기만당했다는 느낌을 가질 것이며, 조직은 평가로 인해 학습할 기회를 잃어버릴 것이다. 이와 관련해 패턴(Patton, 1997)은 전문적인 평가활동이 직면하게 될 중요한 과제는 바로 유익하고 활용 가능한 평가를 해야한다는 것 임을지적했다. 이런측면에서 패턴은 자신의 평가 접근 방법을 ‘활용중심 평가(Utilization- Focused Evaluation)’라고 명명한 바 있다. 발췌. 인적자원개발론, 배을규 2009. 우리는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일 것이다. .. 더보기 [HRD뉴스] 2012.09.27 뉴스링크 . . _.HRD 일반뉴스.2012.09.27_ . 일반적인 포털서비스에서 나오는 키워드 뉴스를 모아놓은 곳입니다. . . HRD, 인적자원개발, 직업능력개발 . 월간HRD 10월호 발행…창의와 감성 인재 육성을 위한 HRD 6시간전| 뉴스와이어| 창간하여 올해 22주년을 맞은 국내 유일의 인재육성전문지이자 HRD 전문매체인 '월간HRD' 2012년 10월호가 발행됐다. 기업에서의 창의와 감성 인재 육성... . YBM시사닷컴, 온·오프라인 통합 '커리어 캠퍼스' 오픈 2012.09.25|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YBM시사닷컴의 온라인 직무교육 사이트 YBM HRD와 오프라인 평생교육센터 YBM커리어캠퍼스가 통합된다. YBM시사닷컴은 25일 YBM HRD과 YBM커리어캠퍼스를 'YBM커리어캠퍼스'라는... 더보기 [HRD이론,개념] 인적자원개발론. 배을규. 2009출 (리뷰완료) [HRD100 도서소개] 편향되지 않은 HRD이론을 담은 이론서적. 이 책은 2012년 지금 현재 HRD분야에서 트랜디하게 사용되는 용어를 근본적으로 배제 했다고 생각한다. HRD실무를 수행하면서 들어본 다양하고 분야별 대표하는 용어들을 대변하지 않지만, 그런 용어들이 어떤 배경에서 탄생할 수 있었는지 객관적인 관점으로 편향되지 않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는 HRD업을 수행하면서 매번 생기는 “내가 왜 이걸 하고 있지?” “이 활동이 교육대상자들에겐 어떤 영향을 주는 거지?” 등의 HRD활동의 기원에 대한 해답을 객관적이게 설명하고 있고, “저기서 이런 용어의 HRD를 하니까 나도 해야겠다” 등의 주체적이지 못한 HRD활동을 최대한 배제 할 수 있게 해준다. 간단한 예를 들어서 ISD를 언급하지 않지만.. 더보기 창의력개발의 정도(正道)는? 한 2년 전 부터 어떤 업종이든 상관없이 계층별교육의 계획을 짤때 창의력강화 또는 창의력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비중있게 편성을 하고 있다. 요새 HRD100d에서 포스팅했던 아이디어발상법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도 있지만, 기업교육,HRD분야에서의 창의력 개발은 관점에 따라 몇가지로 나뉘어진다. 첫번째, 아이디어발상법을 통한 프로그램 두번째, NLP를 활용한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 세번째, 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프로그램 으로 나뉘어서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을 설명한적이 있다. 하지만, 기업교육담당자들이 간과하지 말아야 할것은 위에 3가지 이외에 더 많은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겠지만,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사람이 창의적인 사람이 되지는 않는 다는 것을 잘알고 있을것이다. 필자가 말하고 싶은 창의력 개발의.. 더보기 [HRD도서리뷰] HRD핵심지식2권. 현영섭저 - 2011출간 (리뷰중 1/5) 신입교육담당자로 들어가건, HRD컨설팅에 신입으로 들어가건, HRD를 전공으로 삼는 분들은 이 책을 제일첫번째로 읽을 것을 추천한다. 물론 이해가 안가고 어렵겠지만, 타 도서와 비교해서 실무에 굉장히 도움이 많이될것이다. 오리엔테이션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더라도 어느정도의 깊이있는 방향성을 제시해준다. HRD100 도서평가테이블 정보의성향실무적용정도정보상세함내용의참신함출판일시총 점평 가점 수2232413비 고 HRD실무팁 ※ 도서평가테이블 이란? HRD 핵심지식. 2저자현영섭 지음출판사고려아카데미컨설팅출판부 | 2011-01-01 출간카테고리경제/경영책소개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현영섭의 『인사ㆍ교육담당자가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현영섭의 『인사ㆍ교육담당자가 꼭 알.. 더보기 보고서의 수준을 높이고 싶다면? 매주 초나 주말이면 주간보고 작성하느라 사무실은 분주하다. 상급자가 부하직원의 업무를 보고 받고, 이에 대해 피드백을 하는 시스템은 조직을 운영하는데 기본적인 시스템이지만, 서로가 간과하고 있는 문제가 이런 간단한 소통문제에도 나타난다. 이해를 쉽게 하기위해 질문으로 시작해볼까 한다. "부하직원의 보고서 수준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교육을 시킨다던지 머 이런 방법도 있겠지만, 그보다 확실한 방법은 검토자가 보고서를 꼼꼼하게 보고 꼼꼼하게 피드백을 해주는 것이다. 딱 잘라말해 해당 보고서에 관심을 가지면 가질수록 보고서의 수준은 올라가게 된다. 특히 주간보고서나 일일보고서 같은 정기적으로 보고가 되는 보고서는 특히 그렇게 되어버린다. 검토자들이 보고자의 보고서를 보고자앞에서 바로 검토하고, 검토하는..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