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적자원개발

[HRD뉴스] 2012.10.16 뉴스링크 (10.14~10.16) _.HRD 일반뉴스.2012.10.16_ . HRD실무자, 담당자로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뉴스,칼럼,일정등을 모아놓았습니다. 본 포스트의 활용대상자들은 HRD담당자, HRD기획자, HRD컨설턴트, 기업교육담당자 입니다. ※ 제가 뉴스자료를 정리할때 아동, 청소년 쪽 교육도 가끔 모아서 넣는 것은 큰 연장선상에서 성인교육에도 적용이 될수 있는 주제라 생각하면 넣어두고 있습니다. HRD기획자라면 관점과 생각의 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판단해서 입니다. . HRD, 인적자원개발, 직업능력개발 . 필립스 박사, 10월 12월 방한해 HRD트렌드 공개 7시간전|머니투데이| 고문순기자]'5단계 교육효과 평가 모형'의 창시자 필립스 박사가 한국을 찾아 전 세계의 HRD 트렌드 등을 분석하고 전망한다... 더보기
ISD(Instruction Systrm Development)를 비판한다. ISD를 비판한다. | ISD를비판한다(서론) | 비판#1 | 비판#2 | 비판#3 | 비판#4 | [HRD용어사전v2012] "ISD" | 교수 설계에 대한 ‘시스템 접근법’은 트레이닝 업계에서는 등대와 같은 존재이다. 그러나 이 분야에서 최고로 인정받는 전문가들 중 일부는 이 등대가 우리를 잘못된 길로 인도하고 있다고 말한다. 「완벽한 수단과 뚜렷하지 않은 목적,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를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단어들이다.」 ― Albert Einstein 어떻게 하면 효과적인 트레이닝을 만들 수 있을까? 지난 수십년 동안 기업 트레이닝 업계에서 이 질문에 대한 최고의 답은 교수체계설계 모델 -"ISD", 또는 ‘시스템 접근법’이라고도 한다.- 이었다. 컴퓨터를 제외하고 생각했을 때, 우리가 ‘교수(I.. 더보기
ISD를 비판한다. #4. 시각을 고쳐야 한다. #4. 세상을 보는 잘못된 시각에 매달리고 있다. | ISD를비판한다(서론) | 비판#1 | 비판#2 | 비판#3 | 비판#4 | [HRD용어사전v2012] "ISD" | 트레이닝에 대한 ISD의 접근방식에는, 우리가 접하는 업무 환경이 너무 복잡하여 좀더 현명한 교수 설계자들의 개입 없이는 우리같은 보통 인간들은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는 가정이 내포되어 있다. “전체적인 ISD 모델은 ‘어리석은 학습자들과 뛰어난 전문가들’이라는 가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라고 Thiagi는 말한다. “이제까지 살아오는 동안, 내가 접했던 대부분의 ISD로 만들어진 프로그램들은 모두 나보다 바보같은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들이었습니다. 그들은 나를 가장 낮은 수준으로 끌어내리려고 하더군요.” 그는 이 화제에 점점.. 더보기
ISD를 비판한다. #3. 결과는 형편없었다. #3. 하라는 대로 모두 따랐지만, 그 결과는 형편없었다. | ISD를비판한다(서론) | 비판#1 | 비판#2 | 비판#3 | 비판#4 | [HRD용어사전v2012] "ISD" | 비록 ISD가 기술(테크놀로지)로는 그 자격이 충분치 못하다 해도, 만약 ISD를 충실히 따르고서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만 있다면 우리는 ISD를 썩 괜찮은 규율(Discipline)로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오히려 그 결과는 반대라고 확신한다. John Murphy는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ISD의 장점은 규율이 없던 분야에 일종의 규율을 제공한 점이다. 그리고 ISD의 단점은 그 규율이 잘못된 것이라는 점이다.” 앞에서 우리가 보았듯이 부분적으로 문제는, 설계자들의 주의를 끌어당.. 더보기
ISD를 비판한다. #2. There's no "there" there #2.그곳에 무언가가 있을 것이라고 믿었지만, 그곳은 존재하지 않았다. (There's no "there" there) | ISD를비판한다(서론) | 비판#1 | 비판#2 | 비판#3 | 비판#4 | [HRD용어사전v2012] "ISD" | ISD 모델은 트레이닝을 기교(art)에서 과학으로 바꾸고자 하는 오랜 시간 동안의 노력을 통해 얻어진 결과이다. 여기서 긍극적으로 얻고자 했던 것은, 그대로 충실히 따르기만 하면 예측할 수 있고 믿을만한 학습 결과로 이어지는 프로세스로서의 ‘교수(Instruction) 테크놀로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었다. ISD를 개발하고 정교화했던 이론가와 실무자들은 다리를 건설하는 과학과 같이 확실한 효과를 가진 트레이닝의 과학을 원했다.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은 ISD의 '교.. 더보기
ISD를 비판한다. #1. 문제에 대처속도가 느리고 엉성하다 ISD는 오늘날 트레이닝 업계가 직면하는 많은 장애들에 대처하기에는 그 속도가 너무 느리고 엉성하다. | ISD를비판한다(서론) | 비판#1 | 비판#2 | 비판#3 | 비판#4 | [HRD용어사전v2012] "ISD" | ISD에 대한 비판 중 확실한 내용으로 가장 자주 언급되는 것은, ISD가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기에는 너무 느리고 엉성하다는 점이다. 군대에서 약간의 기술을 갖춘 몇천명의 조교들이 수백만명의 군인들을 앉혀놓고 M-16을 분해, 조립하는 것을 가르치는 식의 공식과 같이 굳어진 프로그램들의 개발에서는 ISD가 그 효과를 인정받을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수년동안 똑같은 전자제품이나 자동차 밧데리를 생산하는 조립공장에서 상대적으로 단순한 작업을 담당하는 공장의 수많은 인력들을 대상으로 한 교.. 더보기
ISD 모형 기본단계 설명, 모형의 장단점 ISD 모형 기본단계 설명, 모형의 장단점 인적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방법론이란 여러 유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단계를 제시하고 각 단계별로 고려하고 이행해야 할 활동을 알려주어 모든 공정을 거치게 하여 해당 문제 해결의 결과에 품질적으로 인정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인적자원 개발 방법론이란, 바로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절차라 인식하면 좋을 것이다. 이런 인적자원 개발 방법론에는 ISD와 ESD 등의 모형이 있는데 여기서는 ISD의 기본 단계 설명과 ISD의 장단점을 알아보기로 한다. ISD는 Instructional System Development의 약자로 대략 5가지 필수적인 단계로 요약된다. 즉,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이다. 인적자원 개발.. 더보기
산업교육훈련실무(TRAINING 2012). 트레이닝컨설팅. 2012 산업교육 훈련실무서. 이 책은 기업의 발전에 필요한 지적역량의 강화와 조직 활성화를 극대화 시키는 서비스 등의 다양하고도 효율적인 기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지만, 판매되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으로 정리되어 있는 것이라서 국내 교육프로그램의 체계등을 학습하고 싶은 분들에게는 다소 빈약한 자료라 생각한다. 2012년 겨울에 재판되어 출간되었다. 제1부 공개강좌 프로그램 제2부 사내강좌 프로그램 제3부 직급교육 프로그램 제4부전문교육 프로그램 제5부 조직개발 프로그램 제6부 고객만족 프로그램 제7부 판매·영업 프로그램 제8부 생산·직무 프로그램 제9부 이벤트 축제 프로그램 제10부 행동체험 프로그램 제11부 독서통신교육 프로그램 제12부 전국 교육장/행사장 목록 . _.HR.. 더보기
인적자원개발론. Richard A. Swanson저. 2010출 『인적자원개발론』은 개인과 조직의 변화를 키워드로 인적자원개발의 핵심 이론, 학습과 성과의 패러다임, 조직개발의 원리를 체계적으로 탐구한 내용을 담았다. 전통적 인적자원개발의 3대 영역으로 분류되는 훈련과 개발, 조직개발, 경력개발의 영역 구분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인적자원개발의 미래를 제시했다. 역자 서문 한국어판 저자 서문 저자 서문 제1부 인적자원개발 개요 제1장 전문 실천 분야로서의 인적자원개발 제2장 인적자원개발 모형 및 프로세스 개요 제3장 인적자원개발의 역사 제2부 인적자원개발 이론 및 철학 제4장 인적자원개발 이론 및 철학의 역할 제5장 인적자원개발 이론 제6장 인적자원개발 구성 이론 제3부 인적자원개발의 관점 제7장 인적자원개발의 패러다임 제8장 인적자원개발의 성과에 대한 관점 제9장 .. 더보기
인적자원개발 이론과 실천. 장원섭. 2011출 이 책은 인적자원개발의 전체 체계를 망라하고 있다. 인적자원개발의 이론과 실천의 줄기를 총체적으로 조망할 뿐만 아니라 그 가지까지 세세하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1부는 인적자원개발의 기초로서 개념, 역사 그리고 이론을 다룬다. 제2부는 인적자원개발 실천 활동을 정리한다. 마지막 제3부에서는 인적자원개발의 발전을 위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머리말: 인적자원개발의 정체성 탐색 제1부 인적자원개발의 기초 제1장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제2장 인적자원개발의 역사 제3장 인적자원개발의 이론 제2부 인적자원개발의 실천 제4장 인적자원의 육성체계 제5장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제6장 일터에서의 학습 제7장 교육프로그램의 평가 제8장 후기산업사회에서의 경력개발 제9장 조직개발과 변화 제10장 인적자원을 통한 성과향상 제3부 .. 더보기